맥에 apache, tomcat 연동하기
일하는 중이므로 간략하게 링크만 남김. 영어 : https://gist.github.com/jclausen/7121183 한국어 : http://cnbsoft.blogspot.kr/2014/02/mac-mavericks.html
일하는 중이므로 간략하게 링크만 남김. 영어 : https://gist.github.com/jclausen/7121183 한국어 : http://cnbsoft.blogspot.kr/2014/02/mac-mavericks.html
file httpd 라고 쉘에서 치면 httpd: setuid ELF 32-bit LSB executable, Intel 80386, version 1 (SYSV), for GNU/Linux 2.6.9, dynamically linked (uses shared libs), for GNU/Linux 2.6.9, not stripped 32비트 머신으로 확인된다. 혹은 apachectl -V 라고 치면 Architecture :… 더 보기 »아파치 컴파일 아키텍트 확인
1 2 3 4 5 6 7 8 9 10 11 |
<!DOCTYPE HTML PUBLIC "-//IETF//DTD HTML 2.0//EN"> <html> <head> <title>414 Request-URI Too Large</title> </head> <body> <h1>Request-URI Too Large</h1> <p>The requested URL's length exceeds the capacity limit for this server.<br/></p> </body> </html> |
위와 같이 Request 길이가 초과되어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다. Apache 문서에 따르면 8192 byte, 보통은 4000 byte 내로 사용할 것은 권고하고 있고, 그래서 IE의 경우에 2048 byte 의 길이로 request 길이를 제한한다. 만약 디폴트 설정을 변경하려면, httpd.h 파일의 DEFAULT_LIMIT_REQUEST_LINE… 더 보기 »413 Entity Too Large, 414 Request-URI Too Large
관리하는 서비스에서 오류를 확인하기 위해서 스크립트를 만들었다.
1 2 3 |
#!/bin/sh today=date "+%Y%m%d" log_file='apache.log' tail -f $log_file.$today | awk '($9 != 200 && $9 != 302 && $9 != 304) {print $0}' |
1 2 3 |
#!/bin/sh log_file='catalina.out' tail -f $log_file | awk '/ERROR/ || /WARN/ || /Exception/ {print $0}' |
아파치의 경우에는 로테이트 로그 되므로 날짜를 지정하게 했다. 200, 302, 304 status code는 정상이므로 걸러내고, 나머지에 대해서만 필터링해서 출력하는 코드이다. 톰캣의 경우에는 그냥 파일이름만 있으면 된다. 대충 ERROR나 WARN 혹은 Exception이라는… 더 보기 »remote server 로그 모니터링 스크립트
nginx 라는 초경량화된 웹서버가 있다. 뭐, 아파치랑 비슷한 역할을 하는데, 좀 가볍다는 정도인 듯 하다. 그런데 해당 웹서버를 쓰는 서버에 자바로 http client를 물리니 소켓 커넥션 시에 “Software caused connection abort” 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구글링을 해보니, ACK가 도달 안하고… 더 보기 »NGINX와 Connection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