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freeism

String to Xml convert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는 중에 dummy xml 스트링을 리턴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마다 Document를 생성하고 Element를 만드는 경우는 코드상 오버헤드가 크다. private Document stringToXml(String str) throws Exception {   return new SAXBuilder().build(new StringReader(str)); } 이렇게 해서 문자열을 xml로 변환하여… 더 보기 »String to Xml convert

[guava] Joiner 활용 – List를 String으로 concat할 때

List<String> 데이터를 String으로 표현해야 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외부 API에 파라미터로 넘겨줄 경우. [A, B, C, D] 라는 데이터를 “A,B,C,D”로 표현하고 싶다. List는 iterator니까… 순서대로 돌면서 각 문자열에 ,를 붙여주면 끝날 것 같다. (단, 마지막에는 ,를 붙이지 않음) 그런데,… 더 보기 »[guava] Joiner 활용 – List를 String으로 concat할 때

[java] oauth encoder

java에서 제공하는 java.net.URLEncoder.encode()와 oauth 규약에서 정의하는 encode()는 서로 다르다. http://www.marcworrell.com/article-2943-en.html 에서 보면 oauth에서는 RFC3986 규약을 따르고 있으며, 알파벳, 숫자, -, ., _, ~는 인코딩하지 않기로 가이드하고 있다. 즉, URLEncoder를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어서 wrapping해서 사용하게 된다. 다음 코드와 같이 된다.… 더 보기 »[java] oauth encoder

생각의 덫 (부제:프로젝트 설계 미팅 중에 갑자기 든 생각)

우리의 삶이 복잡해지는 이유가 뭘까? 우리의 삶은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구조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런 흐름이기 때문에 인력으로 어떻게 막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결국은 문제에 대해 해결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그것을 풀어가는… 더 보기 »생각의 덫 (부제:프로젝트 설계 미팅 중에 갑자기 든 생각)

power mock 사용법 (final class의 테스트)

mockito에서 final class에 대한 mock은 생성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shindig library에서 HttpResponse.java가 있는데.. public HttpResponse() {} HttpResponse(HttpResponseBuilder builder) { … } private HttpResponse(int httpStatusCode, String body) { … } public HttpResponse(String body) { this(SC_OK, body); } 위 클래스는 final 클래스이고,… 더 보기 »power mock 사용법 (final class의 테스트)

finally 코드의 이해

흠… klocwork가 정적 결함으로 finally 구문을 잡았다. 코드를 확인했더니 finally 구문에서 return을 호출하고 있다. finally 사용법에 안 맞게 사용되긴 했지만 (finally는 리소스 해제 등에 활용됨) 크게 문제가 되나? 라는 생각을 가지고 테스트를 일부 해봤다.

위는 정상적인 경우이므로 100을 리턴하길… 더 보기 »finally 코드의 이해

유럽이후…

내 감성은 특정 시공간에 갇혀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엔 얼마나 갈지 모르겠다. 유럽이라는 감옥에 갖힌지 이틀째, 아침부터 피렌체 영상을 보며 아쉬움을 달랜다.

인연이란…

문득, 새로 알게 된 사람이 이미 알고 있었던 사람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기억 속에 남아있지 않지만… 그냥 무심코 스쳐지나가던 사람, 편의점에서 계산하던 알바, 술먹을 때 뒷자리에서 떠들던 사람. 우연한 기회에 퍼즐을 맞췄는데, 그 시간, 그 공간 속에 함께 있었던… 더 보기 »인연이란…

2011년 어느 따스한 봄날

집에 있기엔 너무 따스한 봄햇살… 그동안 춥다고 너무 실내에만 있었나보다. 까칠해지고 모나고… 햇살속에서 행복감을 주는 호르몬이 나오는 것이라고 얘기하지 않더라도 이런 따뜻한 자연속에서 안겨있다는 생각이 들면 세상의 어떤 짜증도, 분노도, 모두 눈녹듯이 사라져간다.